한 달 동안 읽었던 인상깊은 아티클을 모아두고 공유합니다.
무조건 스켈레톤 화면을 보여주는게 사용자 경험에 도움이 될까요?
by 카카오페이
무조건 스켈레톤 화면을 보여주는게 사용자 경험에 도움이 될까요? | 카카오페이 기술 블로그
카카오페이에서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며 스켈레톤 UI와 사용자 경험 향상에 대해 고민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tech.kakaopay.com
카카오페이에서 로딩 화면(스켈레톤 UI)을 중심으로, 빠른 인터넷 환경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글입니다. 프론트엔드 개발 관점에서 UX를 고민하며 스켈레톤이 오히려 사용자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재밌었습니다.
정량 데이터 없이 성공적인 UX 포트폴리오 만들기
by 우디
28화 정량 데이터 없이 성공적인 UX 포트폴리오 만들기
주변 설문에서 SNS 리뷰까지, 정성 데이터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작성법 | 정량 데이터가 없는데 프로덕트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을까요? 많은 프로덕트(UX/UI) 디자이너 채용글에서 '정량
brunch.co.kr
포트폴리오에서 정량데이터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디자이너가 문제를 해결해 가는 '논리적 흐름'과 '생각의 깊이'입니다. 정량 데이터는 흐름 에서 강한 논리적 근거로 작용하기 때문에 중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흐름을 대체제로 보완할 수만 있다면 프로덕트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만들 수 있습니다.
포트폴리오를 만드는데 정량데이터가 없어 좌절하고 있다면 한 번 읽어보면 좋을 글입니다.
상품상세 페이지 개선해 성과내기
by. Summer Bomi in 스타일쉐어
상품상세페이지 개선해 성과내기
지난 분기, 상품 상세 페이지를 개선했습니다. 스타일쉐어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End Page중 하나입니다. 결국 End Page로 얼만큼 많이 유입시켰고, 비즈니스 효과를 냈는 지가 서비스의 지표, 볼
medium.com
스타일쉐어에서 상품 상세 페이지의 UXUI 개선으로 첫 구매 전환율과 리텐션 상승 등의 성과를 낸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실험하는 것 너무 재밌어보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품명 단순화, 가격 강조, 리뷰 표시 같은 세부 디자인 디테일을 수정한 것이 좋은 영향을 준 것을 보고 디테일의 중요성도 느꼈습니다.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are] 10월에 읽은 좋은 UX아티클 모음 (1) | 2024.11.08 |
---|---|
디자이너가 쓰는 FRD(기능정의서) - 그래서 FRD가 뭔데? (2) | 2024.10.10 |